셈 (Shem) 함 (Ham) 야벳 (Japhet) 일부 기독교 지도자들과 그들을 따르는 기독교인들은 노아의 저주를 받은 함의 후손들이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사막 남쪽의 흑인들 조상이 되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또 그런 방식으로 과거 서구의 일부 기독교인들은 아프리카에 대한 서구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거나 흑인노예를 부리는 것이 정당화 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구약성경에서 나오는 노아의 후손들은 사실상 지중해에서 먼 지역의 민족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시아 인종이나 유럽의 노르만족이나 슬라브족 등이 성경에 나오는 셈 함 야벳 가운데 누구의 후손인지 사실상 알수 없습니다. 또한 창세기에 노아의 세아들 셈 함 야벳 중에 누가 형이고 동생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하여 조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성경은 세번에 걸쳐서 셈 (Shem) 함 (Ham)야벳 (Japheth)의 순서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창 5:32 “노아는 오백 세 된 후에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더라” 창9:18 “방주에서 나온 노아의 아들들은 셈과 함과 야벳이며 함은 가나안의 아버지라” 창10:1 “노아의 아들 셈과 함과 야벳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히브리어 성경도 마친가지로 셈 함 야벳 ( שֵׁ֖ם וְחָ֣ם וָיָ֑פֶת)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창세기의 다른 두 구절(창 9장24절과 10장 21절)은 순서가 다릅니다. 창9:24 And Noah awoke from his wine, and knew what "his younger son" had done unto him (KJV). 창9:24 When Noah awoke from his wine and found out what "his youngest son" had done to him (NIV), 즉 킹제임스 영어 성경은 함(Ham)을 ‘어린 동생’ (his younger son)이라고 소개하지만, NIV성경은 함(Ham)을 막내 동생(his youngest son)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억해야 할 점은 히브리어에는 영어처럼 원급 비교급 (er) 최상급 (est)의 구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 구조와 상황 (context)에 의하여 판단해야합니다. 또 9장 24절의 ‘카탄’ (קָטָן) 이라는 단어는 ‘어린’ (young), ‘작은’ (small) 혹은 ‘중요하지 않은 (unimportant) 이라는 의미입니다, 그 단어를 번역할때 문장의 의미가 통하도록 ‘더 어린’(비교급) 혹은 ‘가장 어린’ (최상급)으로 번역성경들은 달리 번역 되었습니다. 다시말해서, 9장 24절의 ‘베노 하카탄’ (בְּנ֥וֹ הַקָּטָֽן)을 KJV성경에서는 비교급 ( his younger son)으로, NIV 성경에서는 최상급 ( his youngest son)으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런데 10 장 21절에 가면, 한글성경과 KJV 와 NIV 성경 모두 다 ‘셈은 야벳의 형’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10:21 셈은 에벨 온 자손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이라 그에게도 자녀가 출생하였으니 (개역개정) 10: 21 Sons were also born to Shem, whose older brother was Japheth…. (NIV) 그러나 NIV 아래쪽의 각주(footnote)를 보면 ‘또는 야벳의 형’ 즉 (Or Shem, the older brother of Japheth) 이라고 보충설명를 해놓았습니다. 10:21 “And children were born also to Shem, the father of all the children of Eber, the brother of Japheth the elder” (NKJV) 마찬가지로 NKJV의 각주를 보면 ‘또는 야벳의 형제 형’ (“Or the older brother of Japheth”)이라고 보충설명을 적어 놓았습니다.
즉 양쪽 번역이 다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יֶ֥פֶת הַגָּדֹֽול 형 야벳 (the elder Japheth) 그 이유는 문장의 구조상 ‘위대한’ 혹은 ‘큰’ (great) 이라는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가돌’ (גָּדוֹל) 이 ‘나이 많은’ (elder) 혹은 형(Oldest)으로 번역될수 있고, 또 이 말은 대상이 분명하지 않아서 ‘형제’ (brother) 를 가르킬수도 있고 ‘야벳’ (Japheth)을 가르킬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이 세사람의 순서는 형제간의 서열을 말할수 있고,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2) 또 형제간의 순서를 말한다면 ‘셈-함-야벳’ 혹은 ‘야벳-셈 -함’이라는 두가지 모두 가능성이 있습니다 ( Wenham, Genesis 1-15, 228) 따라서 ‘하나만 절대적으로 옳다’고 주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름의 순서가 창세기 내용을 이해 하는데 특별히 의미를 가지고 있지도 않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셈-함-야벳’의 서열을 지지합니다. 참고로, 이슬람의 경전 코란에는 세 아들 이외에 이름이 나오지는 않는 또 한명의 아들이 등장합니다. 그 아들은 아버지의 종교를 비난했고, 아버지가 배에 타라고 했지만 끝까지 자기 힘으로 높은 산에 올라가려고 하다가 알라신의 벌을 받아서 실종되어 버린 인물로 소개됩니다. 그러나 이슬람의 경전은 마호멧트가 유대교와 기독교의 경전인 성경을 후대에 인용해서 만든 것이기에 전혀 설득력이 없습니다. |